에어컨 온도 26도→ 27도 '딱 1도' 올려봤어요~ 결과는?


찜통더위인데 집에서 에어컨 온도 몇도로 트시나요?

저희 집은 처음 에어컨 살 때부터 쭉 26도로 틀고 있었는데요. 원래 여름철 실내 적정온도는 26도~28 도라죠? 뉴스 보니 에어컨 온도 1도만 올려도 전기세 절약에 큰 도움이 된다길래 한번 26도→ 27도 딱 1도 올려봤는데요. ^^

에어컨 1도 올리기 직접 해보니..

한낮에는 무려 37도까지 올라가더니 저녁에도 집안 온도 32도!!! 오늘도 열대야 당첨ㅜ.ㅜ 하루종일 틀 진 않아도 자연스레 전기세 정도는 체크하게 되는데요.

많이들 모르실텐데, 사실 에어컨엔 전기사용량을 알려주는 기능이 있어요. 켜진 순간부터 그날 하루종 일 돌린 만큼 전력량을 알려주죠. (회사마다 다르지만 설명서 보시면 있을 거에요.^^)

그래서 호기심에 에어컨 26도일때와 27도일때 1시간 동안 얼마나 전기를 썼는지 간단하게 비교해봤어 요!

에어컨 26도 돌려봤더니

먼저 쭉 사용해왔던 에어컨 온도 26도에요. 다들 그렇겠지만 처음엔 강으로 틀어야 전기세 덜 나오는 건 아시죠? 요렇게 1시간 돌렸더니..

0.7kWh 사용했다고 알려주네요. 다른 집은 1시간에 얼마나 나오는지 몰라도 일단 1등급 인버터 방식이 라 그리 많이 나오진 않은 거 같아요.

에어컨 27도, 딱 1도 올려봤더니

다음은, 에어컨 온도를 딱 1도 올려서 27도로 설정했어요.^^

그랬더니, 숫자 차이 보이시나요? 0.4kWh !

0.7 : 0.4 어디까지나 단순한 비교이지만, 겨우 1도 올렸을 뿐인데 전기소비량은 40% 절약 효과가 있어 요. 꽤 큰 차이죠?

제가 전문가는 아니지만, 매번 뉴스에서 보면 에어컨 온도 2~3도만 높여도 전기세 폭탄 맞지 않는다는 게 괜히 거짓말은 아닌 거 같아요. 그럼 실제 피부로 느끼는 에어컨 1도 차이는 어떨까요?^^

에어컨 온도 1도 차이 얕보면 안되는 이유

일단 저희집은 에어컨을 틀때 꼭 커튼을 2중으로 치고 빨래집게로 찝어놔요. 요렇게 해야 냉기가 안 빠 져나가요. 커튼을 칠때와 안 칠때 정말 확연히 달라요.

그리고 사람마다 시원함을 느끼는 에어컨 온도는 다 다르잖아요?

사실 온도 올렸다 내렸다 귀찮아서 26도를 쭉 사용해왔는데요. 27도에 적응해보니 생각보다 차이를 모 르겠어요. 에어컨에서 먼 끝방은 약간 공기가 더운 느낌인데 어차피 제습은 다 되고 같이 쓰는 선풍기 방향을 잘 조정하면 되니깐요.^^

에어컨 온도 1도 차이로 느끼는 피부온도는 별 차이 없는데, 실제 전기사용량은 40% 절약으로 꽤 차이 난단 사실!

근데 아닌게 아니라 실제 연구에 따르면 집안엔 보이지 않는 수증기, 잡열이 많아 1도를 낮추려면 전기 소비량이 30~40% 차이난다고 해요. 얕보면 안되는 수치에요. 아마 기본 단열이 잘 된 집은 28도 틀어 도 시원할 거 같아요.

아직 적정온도를 잘 모르는 집 있으시나요? 그럼 저희 집처럼 한번 에어컨온도 1도만 올려보세요. 틀때 는 틀더라도 기왕이면 전기세 아끼고 냉방병 예방도 하고 건강에도 좋죠 뭘!^^

Nhận xét

Bài đăng phổ biến từ blog này

삼계탕 만들때 X모양 '닭 다리 쉽게 꼬는법'

장마철 '꿉꿉한 화장실 냄새' 쉽게 없앤 방법 5가지

오천원 이하 초저렴이 마트표 다이어트 간식 6